본문 바로가기
4대보험

7월부터 국민연금 상한액 인상!

by 올디나리 래빗 2021. 7. 8.
728x90

 

국민연금 기준 소득월액의 상한액과 하한액은 국민연금 전체 가입자 평균소득을 3년간 평균한 값에 연동하여 매년 7월 변동됩니다. 기준 소득월액과, 상한액과 하한액 기준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준 소득월액 및 연금보험료

 

국민연금 보험료 및 급여산정을 위하여 가입자가 신고한 소득월액에서 천 원 미만을 절사 한 금액을 말하며, 연금보험료는 가입자 자격 취득 시의 신고 또는 정기결정에 의하여 결정되는 기준 소득월액에 보험요율을 곱하여 산정합니다. 

 

사업장 가입자의 기준소득월액
  1. 자격 취득 및 납부 재개시 기준 소득월액 : 회사에 입사를 하게 되면 4대 보험 취득신고를 하는데, 사용자가 근로자에게 지급하기로 약정하였던 금액을 기준 소득월액으로 기재하여 제출하고 이를 적용한다. 
  2. 가입기간 중의 기준 소득월액 : 전년도 중 당해 사업장에서 얻은 소득총액을 근무일수로 나눈 금액의 30배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결정하되 전년도의 소득을 당해연도 7월부터 다음연도 6월까지 적용한다. 즉, 연말정산 시 총 급여총액을 1개월로 환산한 금액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국민연금 상한액 및 하한액

출처: 국민연금공단

신고 소득월액이 33만 원 미만이거나, 524만 원 초과되시는 분들은 상한액/하한액 기준으로 결정됩니다. 예를 들면 월급여가 530만 원인 경우, 530만 원에 사업장가입자 보험요율인 4.5%(근로자 부담분)을 곱하여 연금보험료를 산정하는 것이 아니라 상한액 기준인 524만 원에 보험요율을 곱하여 결정합니다.

 

급여에 관한 업무를 하시는 분은 매년 7월부터 바뀌니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댓글